2025년 7월 7일 (월)

[뉴스 화제] 어촌어항공단, 거제 칠천도 옥계 ‘어기야디어차' 축제

한규택 기자 2022-10-07 15:09:58

인구의 수도권 및 대도시 집중화는 어촌 살리기의 가장 큰 장애물이다.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노력만으로는 부족하다. 생산인구, 특히 젊은 층의 귀어, 귀촌을 통한 지역 특색에 맞는 산업 육성과 비즈니스 및 지역공동체의 활성화가 절실하다. 때마침 어촌 공동체에 기반한 청년 단체가 주축이 되어 지역민과 관광객들과 하나 되는 흥겨운 축제의 장을 마련해서 화제다.

'어기야디어차' 축제 포스터(사진=한국어촌어항공단 제공)

한국어촌어항공단 경남어촌특화지원센터(센터장 정도섭, 이하 경남센터)는 청년어람마을준비위원회(옥계마을회)와 함께 10월 8일부터 9일까지 양일간 경남 거제 칠천도 옥계마을에서 ‘어기야디어차’ 축제를 개최한다.

‘어촌을 흥 나게, 해양수산을 새롭게’라는 슬로건으로 진행되는 이번 축제를 통해 경남센터는 어촌이 보유한 특화자원을 활용하여 지역민과 청년, 관광객들이 참여하는 화합의 장을 조성할 예정이다.

거제 칠천량해전공원(사진=거제시 제공)

이번 행사에는 △어촌 콘텐츠 시장, △비치마켓, △해변 레스토랑 운영 등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을 통해 축제 방문객들의 참여를 높이고 감성을 자극하는 축제로 구성하였다.

거제 로컬 청년디자인 단체 ‘섬도’와 협업으로 진행할 ‘어촌 콘텐츠 시장’은 가족 단위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갯벌 체험과 치유 콘셉트의 요가, 훌라훌라 등 다채로운 체험으로 구성됐다. 또한, 괭이바다(고성만)에서 즐기는 카약 체험, 옥계마을에 10년간 방치된 군함 ‘선진호’를 활용한 해양산업 전시도 준비돼 있다.

거제 칠천도 옥계해수욕장(사진=거제시 제공)

‘비치마켓’에서는 경남 어촌마을과 지역 수산·유통기업들이 참여해 어촌특화상품을 비롯한 다양한 수산물을 전시·판매할 예정이다.

아울러 옥계마을의 해변을 감상하며 식사할 수 있는 해변 레스토랑 ‘바멍’을 운영하여 마을 어르신들이 선정한 메뉴를 직접 조리해 판매할 예정이다.

거제도 노을 풍경(사진=섬문화연구소DB)

정도섭 경남센터장은 “이번 축제가 고령화 등 소멸 위기에 있는 어촌마을에 활기를 불어넣는 소중한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섬TV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망망대해 그 너머연사흘 흰 거품 물고 칠천만 년 꾹꾹 눌러 둔 고독이 마침내 폭발하더니만, 깊고 깊어 푸른 그 그리움 더 어쩌지 못하고 파도소리 뜨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저녁을 먹고 나면 허물없이 찾아가차 한 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입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냄새가 좀 나더라도
송수권, ‘시골길 또는 술통’

송수권, ‘시골길 또는 술통’

자전거 짐받이에서 술통들이 뛰고 있다풀 비린내가 바퀴살을 돌린다바퀴살이 술을 튀긴다자갈들이 한 치씩 뛰어 술통을 넘는다술통을 넘어 풀밭에 떨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서해의 독도인 격렬비열도. 정부가 국무회의를 통해 격렬비열도를 국가관리연안항으로 지정한 7월 4일이 ‘격렬비열도의 날’이다.
우리나라 최남단 섬 마라도

우리나라 최남단 섬 마라도

우리나라 최남단의 섬 마라도. 남제주군 모슬포항에서 배를 타고 남쪽으로 30분 정도 소요된다. 푸른 물결 퍼 올리며 달리는 배의 저편에 한 폭의 수채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망망대해 그 너머연사흘 흰 거품 물고 칠천만 년 꾹꾹 눌러 둔 고독이 마침내 폭발하더니만, 깊고 깊어 푸른 그 그리움 더 어쩌지 못하고 파도소리 뜨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저녁을 먹고 나면 허물없이 찾아가차 한 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입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냄새가 좀 나더라도
송수권, ‘시골길 또는 술통’

송수권, ‘시골길 또는 술통’

자전거 짐받이에서 술통들이 뛰고 있다풀 비린내가 바퀴살을 돌린다바퀴살이 술을 튀긴다자갈들이 한 치씩 뛰어 술통을 넘는다술통을 넘어 풀밭에 떨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