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도서는 해양쓰레기 문제 해결의 ‘사각지대’로 불린다. 인적이 드물고, 접근성도 낮으며, 지형적 특성상 장비 투입도 어려워서 쓰레기 수거 및 관리가 어렵기 때문이다. 설상가상으로 쓰레기의 관리·수거·처리를 맡고 있는 관할 지자체도 인력 및 예산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공기관과 시민단체가 무인도서에 대한 지속적인 해양정화 활동으로 주변 생태계를 보호하는 일에 나서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민관협력 무인도서 해양정화활동(사진=해양환경공단 공식블로그 제공)
해양수산부와 해양환경공단은 8월 29일(금)과 30일(토) 이틀에 걸쳐 경남 통영 등대섬 주변 해역과 거제 방화도에서 2025년 무인도서 해양정화 캠페인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도(島)화지 프로젝트*’라는 주제의 이번 해양정화 캠페인은 무인도서와 주변 해역의 환경에 대한 국민 인식을 전환하고, 특히 보전의 필요성이 있는 무인도서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마련되었다. 민·관 합동으로 실시하는 이번 행사는 ’국립공원을 지키는 시민의 모임‘, ’(사)섬즈업‘과 지역주민 등 약 90명이 참여하고 공단(마산지사)의 청항선과 폐기물 운반 차량도 지원된다. * 무인도서를 깨끗한 도화지처럼 보전하고, 우리가 그림을 그려(가꾸어) 나가자는 의미
통영 등대섬 열목개 몽돌길(사진=통영시 제공)
행사 참가자들은 통영 등대섬 주변 해역과 거제 방화도 해안가에 침적된 해양쓰레기를 수거한다. 모든 활동은 안전요원의 입회하에 이루어지며 특히 수중 정화는 전문 자격을 갖춘 다이버들이 관련 규정을 준수하여 안전하게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무인도서에 대한 관리 안내와 함께 참여자들의 경험을 공유하는 소통의 장도 마련할 계획이다.
최현호 해수부 국제협력정책관은 “작년 9월 전남 거문도 주변 무인도서 해양정화 캠페인을 시작으로 일반인들의 무인도서 해양정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민·관의 지속적 참여와 협력을 통해 청정 무인도서 보전과 관리에 힘쓰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