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와 풍경이 있는 삶] 서정춘, ‘랑’

너랑 나랑 또랑물 소리로 만나 사랑을 잇다
박상건 기자 2025-05-01 09:23:47
랑은

이음새가 좋은 말

너랑 나랑 또랑물 소리로 만나서

사랑하기 좋은 말

 

- 서정춘, '랑’ 전문

 
또랑물 풍경(사진=섬문화연구소DB)

 

팔순 고갯마루의 서정춘 시인이 제 7시집 ‘랑’을 펴냈다. 시집은 39쪽에 작품 31편 뿐이다. 작품들 역시 10행 미만으로 짧다. 시 제목 짧기로 치면 기네스북 감이다. 이 시는 한 단어로만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웅변한다. 
 

‘너랑 나랑’, ‘또랑물’....

‘랑’이라는 단어는 징검다리와 어깨동무 역할을 한다. 외딴섬 분교, 포구에서 ‘팔랑팔랑’ 나부끼던 깃발도 ‘랑’이 있어 외롭지 않고 힘이 있어 보였다.

 
‘랑’이라는 한 단어는 생각 이상으로 큰 에너지를 품고 있다. 한 단어이지만 모음으로 끝나는 체언의 뒤에 붙어, 조연으로 태어나 둘 이상이 만나 대등한 자격을 갖추는 접속 조사이다. 


‘랑’은 어떤 행동이나 일을 함께 할 대상의 품격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랑’은 그렇게 상대를 정겹게 맞고 그를 더욱 빛내주는 역할을 한다. ‘랑’은 상부상조, 상호작용의 정신을 지녔다. 

 
요즘 세상에는 말들이 난무한다. 난장판이다. 우리 속담에 “쌀은 쏟고 주워도 말은 하고 못 줍는다”라는 표현이 있다. 물고기는 입으로 낚인다. 물고기를 낚은 사람도 천상 입으로 낚인다. 말의 폐해가 그렇다. 사람의 입은 하나이고 귀가 둘이다. 경청의 중요성을 상징한다. 말이 많으면 얽히고 설키기 마련이다. 그래서 말이 많은 만큼 몸을 해친다. 

 
구약성서 잠언에는 “미련한 자의 입은 그의 멸망이 되고 그 입술은 그의 영혼의 그물이 되느니라”라는 표현이 있다. 석가모니는 “모든 것은 이 마음에 있으며 저 마음에 있다”고 말했다. 이 마음은 탐욕과 집착이고 저 마음은 언어 표현 이전의 마음이다. 

시중에 시랍시고, 스토리텔링이라는 미명 하에 난해하고 말장난을 일삼는 글나부랭이들이 넘친다. 톨스토이는 “깊은 지혜를 지니고 있으면 지닐수록 생각을 나타내는 말은 더욱더 단순하다”고 말했다. 그래서 “말은 사상의 표현”이라고 강조했다. 

 
입은 마음의 문이다. 말은 마음의 그림이다. 시인은 그런 언어의 마술사이다. 일상적인 유통언어를 낯설고 맑은 언어로 전환해 색다른 풍경화를 그린다. 독자는 그 풍경 속에서 상상의 나래를 펼친다.  

 
그런 감각과 기교를 선보인 서정춘 시인은 1941년 전남 순천에서 태어나 신문배달 소년시절을 거쳐 어느 날 영랑과 소월의 시집에 빠져 시인의 길로 접어들었다. 서정춘 시인은 1968년 <신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고 시집으로 ‘죽편’, ‘봄, 파르티잔’, ‘귀’, ‘물방울은 즐겁다’, ‘이슬에 사무치다’, ‘하류’, 시선집 ‘캘린더 호수’, 등단 50주년 기념집 ‘서정춘이라는 시인’ 등이 있다. 박용래문학상, 순천문학상, 유심작품상, 최계락문학상, 백자예술상을 수상했다.

글‧사진: 박상건(시인. 섬문화연구소 소장)
    박상건(시인. 섬문화연구소장)

섬TV

서정춘, ‘랑’

서정춘, ‘랑’

랑은이음새가 좋은 말너랑 나랑 또랑물 소리로 만나서사랑하기 좋은 말 - 서정춘, '랑’ 전문 팔순 고갯마루의 서정춘 시인이 제 7시집 ‘랑&rsq
박화목, '보리밭'

박화목, '보리밭'

보리밭 사이길로 걸어가면뉘 부르는 소리 있어 나를 멈춘다옛 생각이 외로워 휘파람 불면고운노래 귓가에 들려온다 돌아보면 아무도 보이지 않고저녁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전곡항은 시화방조제가 조성되면서 시화호 이주민을 위해 조성한 다기능어항이다. 항구는 화성시 서신면과 안산시 대부도를 잇는 방파제가 건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아산만 당진시 안섬포구는 서해안 간척 시대의 어제와 오늘, 서해 어촌이 걸어온 길과 관광 대중화에 발맞춰 섬과 포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여주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새만금방조제를 지나 신시도에서 고군산대교를 지나면 무녀도다. 무녀도는 선유대교를 통해 선유도와 장자도와 연결돼 차량으로 고군산군도를 여행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서정춘, ‘랑’

서정춘, ‘랑’

랑은이음새가 좋은 말너랑 나랑 또랑물 소리로 만나서사랑하기 좋은 말 - 서정춘, '랑’ 전문 팔순 고갯마루의 서정춘 시인이 제 7시집 ‘랑&rsq
박화목, '보리밭'

박화목, '보리밭'

보리밭 사이길로 걸어가면뉘 부르는 소리 있어 나를 멈춘다옛 생각이 외로워 휘파람 불면고운노래 귓가에 들려온다 돌아보면 아무도 보이지 않고저녁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