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화제] 제주도 다섯 제비 가족 이야기

제주 수원초등학교에 둥지 틀고 6월 새끼제비 부화
박월선 기자 2021-07-20 10:44:30

제주도 수원초등학교 처마에 제비가족이 둥지를 터 아이들의 사랑을 듬뿍 받고 있어 화제다. 

제비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번식하는 대표적인 여름새다. 제주도 등 남해안 지방에서는 겨울에도 한두 마리를 볼 수 있다. 

새끼 제비가족에 이야기꽃을 피우는 아이들(사진=제주도교육청)

제비 등은 광택이 있는 어두운 청색이고, 이마는 어두운 밤색을 띤 붉은색이다. 배는 백색이다. 7월이면 인가 처마 밑에 둥지를 만들고 한배에 3∼7개를 낳아 13∼18일간 포란한다. 이후 20∼24일간의 육추기간을 지나면 둥지를 떠난다. 

하늘을 날아다니면서 곤충을 포식하며 새끼를 키우는 기간에도 곤충의 성충과 유충을 주로 먹는다. 대부분 파리목과 벌목 곤충을 잡아먹고 나머지는 거미류 등으로 충당한다. 

제주도 수원초등학교는 요즘 중앙현관에 제비네 가족이 둥지를 틀고 먹이를 물어다 먹이면서 새끼를 키우는 제비네 가족의 모습을 보려는 학생들로 중간놀이 시간이나 급식 후 쉬는 시간만 되면 시끌벅적하다. 

수원초등학교 중앙현관에 둥지 튼제비가족(사진=제주도교육청 제공)

제비네 가족은 모두 다섯 마리 새끼를 키우고 있는데 지난 3월 어느 날 집을 짓기 시작하더니 6월 중순쯤 새끼제비가 부화됐다. 

입을 크게 벌리고 있다가 부모제비가 물어다 주는 먹이를 서로 받아먹으려고 짹짹거리는 모습을 보면 너무 귀엽고 웃음이 절로 나온다. 

학생들은 새끼제비 이름 지어보기, 제비네 가족에게 하고 싶은 말하기, 먹이 물어다 주는 모습 보며 느낀 점 말하기, 제비가 등장하는 노래 부르기 등을 하면서 아주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특히 초록이 짙은 수원초등학교 잔디운동장에서 잽싸게 날면서 먹이를 구하는 부모제비들의 모습과 먹이를 받아먹으려고 입을 크게 벌리는 새끼제비들의 모습은 그림처럼 평화롭고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어 주고 있다.

섬TV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망망대해 그 너머연사흘 흰 거품 물고 칠천만 년 꾹꾹 눌러 둔 고독이 마침내 폭발하더니만, 깊고 깊어 푸른 그 그리움 더 어쩌지 못하고 파도소리 뜨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저녁을 먹고 나면 허물없이 찾아가차 한 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입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냄새가 좀 나더라도
송수권, ‘시골길 또는 술통’

송수권, ‘시골길 또는 술통’

자전거 짐받이에서 술통들이 뛰고 있다풀 비린내가 바퀴살을 돌린다바퀴살이 술을 튀긴다자갈들이 한 치씩 뛰어 술통을 넘는다술통을 넘어 풀밭에 떨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서해의 독도인 격렬비열도. 정부가 국무회의를 통해 격렬비열도를 국가관리연안항으로 지정한 7월 4일이 ‘격렬비열도의 날’이다.
우리나라 최남단 섬 마라도

우리나라 최남단 섬 마라도

우리나라 최남단의 섬 마라도. 남제주군 모슬포항에서 배를 타고 남쪽으로 30분 정도 소요된다. 푸른 물결 퍼 올리며 달리는 배의 저편에 한 폭의 수채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망망대해 그 너머연사흘 흰 거품 물고 칠천만 년 꾹꾹 눌러 둔 고독이 마침내 폭발하더니만, 깊고 깊어 푸른 그 그리움 더 어쩌지 못하고 파도소리 뜨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저녁을 먹고 나면 허물없이 찾아가차 한 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입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냄새가 좀 나더라도
송수권, ‘시골길 또는 술통’

송수권, ‘시골길 또는 술통’

자전거 짐받이에서 술통들이 뛰고 있다풀 비린내가 바퀴살을 돌린다바퀴살이 술을 튀긴다자갈들이 한 치씩 뛰어 술통을 넘는다술통을 넘어 풀밭에 떨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