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비타민 식이섬유 보고…별미・간식 ‘기장’

혈당치상승 억제・장 환경 개선…서늘한 곳에 보관해야
장성호 기자 2021-04-12 15:24:27

곡식을 꼭 밥으로만 먹으라는 법은 없다. 밥솥 밖에서도 매력을 뽐낼 수 있는 곡식, ‘기장’이 다. 

작은 알갱이의 기장은 엷은 노란색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곡식 중 하나다. 메기장은 쌀이나 잡곡과 섞어 밥 또는 죽으로 즐겨 먹는다. 찰기장의 경우 엿이나 과자, 술의 원료로 주로 사용돼왔다. 

기장(사진=농진청 제공)

기장은 비타민 B군과 식이섬유를 다량 함유하고 있다. 때문에 기장밥을 먹으면 정장 작용과 혈당치 상승 억제, 혈중 중성 지질 저하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식이섬유는 장내 유익균의 먹이가 되어 장 환경 개선 및 포만감을 준다. 

대부분 가정에서는 기장을 그저 잡곡의 한 종류로 보고 밥을 지을 때만 사용할 것이다. 그러나 기장을 이용해 별미식과 간식 등 간편한 가정요리를 만들 수도 있다. 

먼저, ‘기장 오리너겟’이 있다. 오리고기 가슴살 3쪽에 기장 1컵이 필요하다. 오리고기는 한 입 크기로 썰어 우유에 15분 이상 담가 불쾌한 냄새를 없앤다. 시간이 지나면 재워둔 고기를 체에 밭쳐 물기를 제거하고, 소금과 후춧가루로 밑간을 한다. 이후 오리고기에 밀가루와 달걀물, 기장을 순서대로 묻힌다. 준비가 끝났다면 기름을 넉넉히 두른 팬에 노릇하게 구워내면 된다. 튀김 가루 대신 기장을 사용해 아이들 간식으로도 손색이 없다. 

기장누룽지 닭강정(사진=농진청)

기장 옷 속 오리는 육류 중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가장 높고, 단백질과 무기질이 풍부해 보양식으로 많이 활용된다. 불포화지방산 덕분에 혈관질환 예방은 물론 피부 건강에 도움이 되며,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오리 대신 닭을 이용한 ‘기장 누룽지 닭강정’도 있다. 먼저 기장밥을 마른 팬에 얇고 넓게 펼쳐 앞뒤로 노릇하게 구워준다. 충분히 바삭해졌다면, 먹기 좋은 크기로 부순다. 닭고기 역시 먹기 좋게 썰어준 다음 소금과 후춧가루를 넣고 5분간 재운다. 시간이 지나면 달걀흰자와 튀김가루, 녹말가루를 넣어 버무린다. 이를 170℃로 달군 식용유에 넣고 튀겨낸다. 이후 물엿과 간장, 고추기름 등을 이용해 만든 양념장에 튀긴 닭고기와 기장 누룽지를 넣어 버무리면 완성이다. 

기장밥 인절미(사진=농진청)

기름을 이용한 너겟과 강정이 부담스럽다면, 쫀득한 ‘기장밥 인절미’로 변신할 수도 있다. 찹쌀과 멥쌀, 콩고물만 있으면 된다. 찹쌀과 멥쌀은 섞은 뒤 찬물에 2~3번 헹군다. 넉넉하게 물을 부어 20~30분 불려준 뒤 물에 씻은 기장과 함께 전기압력밥솥에 넣고 밥을 짓는다. 이후 기장밥이 뜨거울 때 소금과 설탕을 함께 넣어 쌀알을 으깨며 치댄다. 떡 반죽에 찰기가 생겨나면 먹기 좋은 크기로 썬 다음 콩고물을 고루 묻혀주면 된다. 

한편, 기장을 고를 때는 낟알이 둥글고 깨지지 않은 것이 좋다. 보관 시 직사광선을 피해 서늘한 곳에 두고, 3개월을 넘기지 않아야 한다.

섬TV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망망대해 그 너머연사흘 흰 거품 물고 칠천만 년 꾹꾹 눌러 둔 고독이 마침내 폭발하더니만, 깊고 깊어 푸른 그 그리움 더 어쩌지 못하고 파도소리 뜨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저녁을 먹고 나면 허물없이 찾아가차 한 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입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냄새가 좀 나더라도
송수권, ‘시골길 또는 술통’

송수권, ‘시골길 또는 술통’

자전거 짐받이에서 술통들이 뛰고 있다풀 비린내가 바퀴살을 돌린다바퀴살이 술을 튀긴다자갈들이 한 치씩 뛰어 술통을 넘는다술통을 넘어 풀밭에 떨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서해의 독도인 격렬비열도. 정부가 국무회의를 통해 격렬비열도를 국가관리연안항으로 지정한 7월 4일이 ‘격렬비열도의 날’이다.
우리나라 최남단 섬 마라도

우리나라 최남단 섬 마라도

우리나라 최남단의 섬 마라도. 남제주군 모슬포항에서 배를 타고 남쪽으로 30분 정도 소요된다. 푸른 물결 퍼 올리며 달리는 배의 저편에 한 폭의 수채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망망대해 그 너머연사흘 흰 거품 물고 칠천만 년 꾹꾹 눌러 둔 고독이 마침내 폭발하더니만, 깊고 깊어 푸른 그 그리움 더 어쩌지 못하고 파도소리 뜨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저녁을 먹고 나면 허물없이 찾아가차 한 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입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냄새가 좀 나더라도
송수권, ‘시골길 또는 술통’

송수권, ‘시골길 또는 술통’

자전거 짐받이에서 술통들이 뛰고 있다풀 비린내가 바퀴살을 돌린다바퀴살이 술을 튀긴다자갈들이 한 치씩 뛰어 술통을 넘는다술통을 넘어 풀밭에 떨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