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6일 (일)

[동화로 읽는 섬이야기] 비응도, 해당화 지다(4편)

보상금을 받으면 이번 기회에 넓은 평수로 옮길 수 있을 텐데
박월선 기자 2020-09-23 14:14:28

장난으로 시작한 호기심은 점점 짙어갔다. 이 번 기회에 명탐정 실력을 한 번 발휘하고 싶었다. 

할머니는 갓난아기를 안 듯 보따리를 안고 우리를 앞질러 걸어가고 있었다. 엄마와 나는 바짝 뒤따라갔다.

 

“왜, 보따리를 목욕탕까지 들고 왔을까?” 

“글쎄, 참 별스럽네.” 

엄마는 알 수 없다는 표정을 지었다. 

할머니의 보따리에 대한 집착은 계속되었다. 식사 때도 보따리를 들고 왔을 정도니까.

 

서해안 갯벌에서 조개잡는 사람들(사진=섬문화연구소DB)


“어머니 그 보따리 이리 주세요. 장롱에 넣어 둘게요.” 

“아니다!” 

차갑게 대답하더니, 할머니는 식탁 의자에 끼고 앉았다. 이번에는 등받이가 된 것이다.

 

‘아, 대단하다.’ 

나는 마음속으로 생각했다. 

구릿빛으로 물든 할머니 피부가 형광등 불빛 아래서 바삭바삭 부서질 것처럼 보였다. 

할머니는 빠르게 식사를 마치고 보따리를 챙기는 것을 잊지 않았다. 할머니가 식탁에서 일어나서 막 내방으로 들어가려고 할 때였다. 전화가 왔다.

 

“네, 여기 계셔요. 걱정하지 마세요.” 

할머니가 계신 방문을 바라보며 엄마가 말했다. 

“이장님이세요. 마을 회의를 했는데 어머니가 보상을 안 받겠다고 고집을 부리셨다고 하네요. 당신이 어떻게 설득 좀 해 봐요.” 

아빠는 걱정스러운 듯 방문을 바라보았다.

 

“당신 내게 할 말 있어?” 

계속 아빠 주변에서 서성거리는 엄마가 이상했는지 아빠가 물었다. 이때를 기다리듯 엄마가 아빠 곁으로 바짝 다가서며 말했다. 

“여보, 어머니 집 때문에 공사가 중단 됐대요. 보상금을 받으면 이번 기회에 넓은 평수로 옮길 수 있을 텐데.” 

“당신은 넓은 아파트가 그렇게 좋아?” 

“그럼, 좋지. 싫어하는 여자가 어디 있어?”

 

엄마가 얼굴을 붉히며 말하자 아빠는 시큰둥한 표정으로 소파에서 일어났다. 나는 놀라서 엄마와 아빠를 번갈아 쳐다보았다. 하지만 엄마는 내가 옆에 있는 것을 상관하지 않고 숨을 쌕쌕거렸다. 엄마의 목표는 어느새 넓은 아파트로 옮겨야 한다는 것으로 정해진 것 같았다. 우리 엄마는 끈질기다. 한 번 정한 목표는 절대로 포기하는 법이 없으니까.(계속)

박월선(동화작가)



섬TV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망망대해 그 너머연사흘 흰 거품 물고 칠천만 년 꾹꾹 눌러 둔 고독이 마침내 폭발하더니만, 깊고 깊어 푸른 그 그리움 더 어쩌지 못하고 파도소리 뜨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저녁을 먹고 나면 허물없이 찾아가차 한 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입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냄새가 좀 나더라도
송수권, ‘시골길 또는 술통’

송수권, ‘시골길 또는 술통’

자전거 짐받이에서 술통들이 뛰고 있다풀 비린내가 바퀴살을 돌린다바퀴살이 술을 튀긴다자갈들이 한 치씩 뛰어 술통을 넘는다술통을 넘어 풀밭에 떨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서해의 독도인 격렬비열도. 정부가 국무회의를 통해 격렬비열도를 국가관리연안항으로 지정한 7월 4일이 ‘격렬비열도의 날’이다.
우리나라 최남단 섬 마라도

우리나라 최남단 섬 마라도

우리나라 최남단의 섬 마라도. 남제주군 모슬포항에서 배를 타고 남쪽으로 30분 정도 소요된다. 푸른 물결 퍼 올리며 달리는 배의 저편에 한 폭의 수채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망망대해 그 너머연사흘 흰 거품 물고 칠천만 년 꾹꾹 눌러 둔 고독이 마침내 폭발하더니만, 깊고 깊어 푸른 그 그리움 더 어쩌지 못하고 파도소리 뜨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저녁을 먹고 나면 허물없이 찾아가차 한 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입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냄새가 좀 나더라도
송수권, ‘시골길 또는 술통’

송수권, ‘시골길 또는 술통’

자전거 짐받이에서 술통들이 뛰고 있다풀 비린내가 바퀴살을 돌린다바퀴살이 술을 튀긴다자갈들이 한 치씩 뛰어 술통을 넘는다술통을 넘어 풀밭에 떨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