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두 번째로 세워진 서해 최북단 소청도등대 

인천해수청 ‘5월에 가 볼 만한 등대’에 선정
한규택 기자 2024-05-14 16:59:39
소청도는 인천항에서 약 210km 떨어진 해상에 위치한다. 인천항에서 소청도까지 쾌속선으로 4시간이 소요된다. 소청도는 대청면에 딸린 섬으로 대청도보다 더 백령도에 가까운 섬이다. 섬 면적은 2.91㎢, 해안선 길이는 13.1㎞다

소청도의 유래는 멀리서 바라볼 때 울창한 산림이 검푸르고 이 검푸른 색깔이 마치 눈썹 먹 색깔과 같다고 하여 푸른섬 즉 청도(淸島)라 불렀다. 소청도와 대청도의 지명은 고려 인종 원년의 기록에도 나온다.

서해 최북단 해상휴전선을 비추는 '소청도등대'(사진=인천관광공사 제공)


소청도는 원래 황해도 옹진반도와 연결됐던 평원상의 지형이었으나 후빙기 해수면 상승으로 돌출된 지형의 상부가 남아 섬이 됐다. 섬 모양은 북동쪽에서 남동쪽 방향으로 길쭉하게 생겼다. 북동쪽에 표고 174m 고지가 있고 대부분 낮은 구릉으로 이뤄져 경작지는 개간한 곳이다. 그 서남단에 소청도등대가 서있다. 

소청도등대는 소청리 산 37번지에 있다. 답동선착장에서 1시간 정도 거리다. 가파른 길과 작은 산등성이를 세 번 넘는다. 1908년 설치된 소청도등대는 우리나라 서해 최북단 등대이자 팔미도등대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등대다. 

소청도등대 전경(사진=섬문화연구소DB)


소청도등대는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유인등대로 설치됐다. 1954년 7월 석유등을 전기식으로 교체했다. 등대 불빛은 40초에 네 번씩 깜박인다. 안개가 끼면 무적신호로 45초마다 소리를 울리고 5초 동안 멈췄다가 다시 40초째 길게 소리를 내어 등대의 위치를 알려준다. 

등대는 군사적 요충지로서 역할과 수산업 전진기지를 밝히는 역할을 해오고 있다. 등대는 섬 서쪽 83m 고지에 우뚝 서서 서해안 북단 해역과 산둥반도, 대연지방을 오가는 국내외 선박의 뱃길을 40km 떨어진 바다까지 불빛을 비추고 있다. 

소청도등대는 우리 민족의 암흑기였던 일제 강점기를 거쳐 8ㆍ15 광복 후 오늘날까지 숱한 우여곡절 속에서도 해상 휴전선에 등불을 밝히여 어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에 일익을 담당해 왔다.

해발 83m 고지에 세워진 소청도등대 모습(사진=인천관광공사 제공)


인천지방해양수산청은 5월 나들이 철을 맞아 이 소청도등대를 여행객들이 가서 볼만한 등대로 소개했다. 안개나 비, 바람 등 기상 상황의 영향으로 배가 자주 결항하거나 지연 출도착하는 서해 최북단 섬은 5월의 청명한 날씨에 방문하기 제격이다. 이번 5월에 우리나라 서해 최북단 소청도등대를 방문해서 해상 휴전선 일대의 정취를 느껴보는 것은 어떨까.

섬TV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몰디브, 보라보라, 발리......’ 신문에서 자주 접하는 섬들이다. 이곳에는 무성한 야자수와 금가루 같은 백사장, 그리고 돈 많은 관광객이 있다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전곡항은 시화방조제가 조성되면서 시화호 이주민을 위해 조성한 다기능어항이다. 항구는 화성시 서신면과 안산시 대부도를 잇는 방파제가 건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아산만 당진시 안섬포구는 서해안 간척 시대의 어제와 오늘, 서해 어촌이 걸어온 길과 관광 대중화에 발맞춰 섬과 포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여주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새만금방조제를 지나 신시도에서 고군산대교를 지나면 무녀도다. 무녀도는 선유대교를 통해 선유도와 장자도와 연결돼 차량으로 고군산군도를 여행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