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9일 (목)

영도 감지해변 해안정화 활동…안전한 해양

해양과학기술원, 감지해변 2km 구간서 해양쓰레기 수거
한규택 기자 2021-06-21 12:10:56

지구촌 이상기온 현상과 함께 해양환경 쓰레기 문제는 연안국가의 골칫거리 중 하나다. 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정책과 시민들의 적극적인 동참이 요구되고 있는 현실이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최근 부산시 영도구 감지해변 일대에서 해안정화 활동을 펼쳤다. 김웅서 원장 등 임직원 30여 명은 코로나19 방역수칙을 준수한 가운데 감지해변 2km 구간에 떠밀려온 폐스티로폼과 플라스틱 등을 집중 수거했다. 

감지해변 해안정화 활동(사진=KIOST 제공)

해양쓰레기는 육상에서 방치된 쓰레기들이 하천을 통해 유입되거나 어업활동 중에 발생하는 부표 등이 제때 처리되지 못해 주로 발생한다. 이후, 잘게 부서진 해양쓰레기는 미세플라스틱이 되어 전 세계 바다를 떠돌고, 이를 섭취한 해양생물이 발견되는 등 해양쓰레기는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는 해양쓰레기 발생을 줄이고, 이를 재활용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 2019년에는 개발한 친환경 부표를 민간에 기술 이전했고, 수거된 해양쓰레기 재활용을 위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김웅서 원장은 “깨끗하고 안전한 바다를 만들기 위해 반드시 해양쓰레기를 줄여야 한다”면서 “해양쓰레기 발생예방, 수거, 처리 등 과정별 연구를 통해 해양폐기물 문제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섬TV

나희덕, ‘저 물결 하나’

나희덕, ‘저 물결 하나’

한강 철교를 건너는 동안잔물결이 새삼스레 눈에 들어왔다얼마 안 되는 보증금을 빼서 서울을 떠난 후낯선 눈으로 바라보는 한강,어제의 내가 그 강물
서정춘, ‘랑’

서정춘, ‘랑’

랑은이음새가 좋은 말너랑 나랑 또랑물 소리로 만나서사랑하기 좋은 말 - 서정춘, '랑’ 전문 팔순 고갯마루의 서정춘 시인이 제 7시집 ‘랑&rsq
박화목, '보리밭'

박화목, '보리밭'

보리밭 사이길로 걸어가면뉘 부르는 소리 있어 나를 멈춘다옛 생각이 외로워 휘파람 불면고운노래 귓가에 들려온다 돌아보면 아무도 보이지 않고저녁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서해 최북단 백령도 해안선 풍경

서해 최북단 백령도 해안선 풍경

서해 최북단의 섬, 백령도. 백령도는 북위 37°52′에 걸쳐 있는 섬으로 2㎞ 앞이 38선이다. 백령도는 인천항에서 북으로 222km 해상에 있다. 쾌속선으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전곡항은 시화방조제가 조성되면서 시화호 이주민을 위해 조성한 다기능어항이다. 항구는 화성시 서신면과 안산시 대부도를 잇는 방파제가 건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아산만 당진시 안섬포구는 서해안 간척 시대의 어제와 오늘, 서해 어촌이 걸어온 길과 관광 대중화에 발맞춰 섬과 포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여주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나희덕, ‘저 물결 하나’

나희덕, ‘저 물결 하나’

한강 철교를 건너는 동안잔물결이 새삼스레 눈에 들어왔다얼마 안 되는 보증금을 빼서 서울을 떠난 후낯선 눈으로 바라보는 한강,어제의 내가 그 강물
서정춘, ‘랑’

서정춘, ‘랑’

랑은이음새가 좋은 말너랑 나랑 또랑물 소리로 만나서사랑하기 좋은 말 - 서정춘, '랑’ 전문 팔순 고갯마루의 서정춘 시인이 제 7시집 ‘랑&rsq
박화목, '보리밭'

박화목, '보리밭'

보리밭 사이길로 걸어가면뉘 부르는 소리 있어 나를 멈춘다옛 생각이 외로워 휘파람 불면고운노래 귓가에 들려온다 돌아보면 아무도 보이지 않고저녁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