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년 전 인천상륙작전 불 밝힌 '섬 전초 기지' 찾아가볼까

한규택 기자 2025-09-10 17:52:41
이제 5일 후면 인천상륙작전 75주년이다. 인천상륙작전은 1950년 한국전쟁에서 위기에 빠진 우리 국군이 일거에 기사회생해서 38선을 넘어 압록강까지 북진하게 되는 결정적인 계기를 마련한 군사작전이다. 

해마다 개최되는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에서 올해 유독 주목되는 것은 ‘인천상륙작전 전초기지’로서의 섬의 역할이다. 

인천상륙작전 목표 지점을 향해 진격하는 미 해병대(사진=인천상륙작전기념관 제공)


대표적인 것이 팔미도 등대다. 팔미도 등대는 1950년 9월 15일 맥아더 사령관이 인천상륙작전을 개시하기 전까지 북한군이 관리 중이었다. 인천상륙작전을 위해서는 어둠 속에서 빛을 비춰주는 등대의 역할이 필수적이었다. 마침내 9월 15일 새벽 2시 20분 한국 장병이 참여한 미 첩보부대 ‘켈로(KLO)부대’*가 팔미도 등대를 탈환, 등대 불빛을 밝히면서 이를 신호로 영흥도, 덕적도 일대 8개국 연합군 7만 5,000명 병력과 261척 함대가 인천으로 진격했다. 그렇게 인천상륙작전은 성공했다.
*‘켈로(KLO)’는 ‘주한첩보연락처’(Korea Liaison Office)를 줄인 말로 미 극동군사령부가 운용한 한국인 특수부대 ‘8240부대’를 말한다.

등대 불빛에서 시작한 인천상륙작전 성공으로 연합군은 13일만에 서울을 탈환, 즉 북한에 서울을 빼앗긴 지 3개월 만인 9월 28일 서울 수복의 전과를 올렸다. 인천에서 서울까지 작전을 펼친 데는 이 일대 지리에 밝은 우리 해병대가 참여해 동시 작전을 펼쳤다. 

인천상륙작전의 불을 밝힌 팔미도 노을(사진=섬문화연구소DB)


또한 인천상륙작전의 성공을 위해서는 주변의 영흥도와 덕적도 등 전략적 요충 섬들의 탈환이 급선무였기에 우리 해군은 인천상륙작전 한 달 전부터 영흥도, 덕적도를 탈환하기 위해 해상전투를 벌였다. 특히, 덕적도의 위치는 인천항 입구를 가로막고 있었기 때문에 인천 상륙에 앞서 전략상 덕적도를 먼저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했다. 이에 8월 18일 아군의 함포 지원을 받은 우리 해군이 성공적으로 덕적도를 점령했다. 이어 8월 20일 영흥도 탈환작전을 전개해서 성공적으로 탈환했다.

이후 우리 해군첩보부대는 북한군의 병력 규모 및 화력, 기뢰 매설 위치, 상륙 지점 지형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밀물이 들어오는 상륙 가능 시간 파악 정보를 맥아더 장군에게 보고했다. 그런데 인천상륙작전을 불과 이틀 앞두고 북한군의 대대적인 공격으로 영흥도가 점령당할 위기에 처했다. 수십 배의 병력 차이에도 불구하고 14명의 해군 대원과 청년방위대원들의 고귀한 희생으로 영흥도를 지켜냈고, 그 결과 역사적인 인천상륙작전이 성공적으로 펼쳐질 수 있었다. 

이처럼 인천상륙작전 성공의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한 ‘섬 전초 기지’ 3곳이 올해 인천상륙작전 기념 모바일 스탬프투어 코스로 추가되어 관심을 모은다. 

영흥도 해군 전적비(사진=한국관광공사 제공)


인천시와 인천관광공사는 10일부터 10월 31일까지 인천상륙작전과 연계한 평화․안보 관광자원을 활용한 '인천상륙작전 모바일 스탬프투어'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올해 스탬프투어는 ‘제75주년 인천상륙작전 기념주간’과 연계해 지난해 2개 코스에서 3개 코스로 확대됐다. 특히 덕적도·영흥도·팔미도 등 전초기지 섬 코스가 새롭게 추가되면서, 기존 상륙지점과 기념관을 넘어 해양과 섬까지 범위를 확장했다.

코스는 총 세 가지로 구성된다. 먼저 ‘코스1 인천상륙작전 상륙지점’은 △녹색해안(월미도 선착장) △적색해안(월미도 입구 삼거리) △상상플랫폼(인천항 1·8부두) △맥아더장군 동상(자유공원) △청색해안(낙성사거리) 총 5개 지점으로 이뤄졌다.

‘코스2 인천상륙작전 기념관’은 △인천상륙작전 기념관 내 자유수호의 탑 △맥아더장군 나무 △상륙주정[LCM(배 모양 조형물)] △인천광역시립박물관 1층 주 출입구 총 4개 지점으로 구성됐다.

마지막 ‘코스3 인천상륙작전 전초기지’는 △덕적도(연안부두 여객터미널, 밧지름해변) △팔미도(연안부두 여객터미널, 팔미도 등대 역사관) △영흥도(십리포 해수욕장, 전적비) 등 총 5개 지점으로, 각 코스별 최소 지점 완주 시, 인근 지역상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5000원 상당의 쿠폰이 선착순으로 제공된다.

레드비치를 탈환한 미 해병대(사진=인천상륙작전기념관 제공)


참여자는 인천 스마트관광 애플리케이션(App) ‘인천e지’를 설치하고 회원가입 후 ‘인천상륙작전 스탬프투어’를 선택하면 된다.

지정 관광지에 방문하면 위치 정보(GPS) 기반으로 모바일 스탬프가 자동 인식된다. 스탬프투어의 세부 코스와 혜택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인천e지’ 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스탬프투어와 함께 온라인 체험형 이벤트도 진행된다. 전용 이벤트 페이지(포스터 참조)에서 ‘평화 기록 요원’이 돼 가상공간 속 3개 코스 과제를 수행하면 디지털 평화카드가 발급되며, 추첨을 통해 모바일 상품권이 제공된다.

인천상륙작전 스탬프투어 행사 포스터(사진=인천광역시 제공)

섬TV

서정춘, ‘랑’

서정춘, ‘랑’

랑은이음새가 좋은 말너랑 나랑 또랑물 소리로 만나서사랑하기 좋은 말 - 서정춘, '랑’ 전문 팔순 고갯마루의 서정춘 시인이 제 7시집 ‘랑&rsq
박화목, '보리밭'

박화목, '보리밭'

보리밭 사이길로 걸어가면뉘 부르는 소리 있어 나를 멈춘다옛 생각이 외로워 휘파람 불면고운노래 귓가에 들려온다 돌아보면 아무도 보이지 않고저녁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이육사, ‘청포도’

이육사, ‘청포도’

내고장 칠월은청포도가 익어 가는 계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절이 주절이 열리고,먼 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하늘 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망망대해 그 너머연사흘 흰 거품 물고 칠천만 년 꾹꾹 눌러 둔 고독이 마침내 폭발하더니만, 깊고 깊어 푸른 그 그리움 더 어쩌지 못하고 파도소리 뜨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저녁을 먹고 나면 허물없이 찾아가차 한 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입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냄새가 좀 나더라도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