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박상건 시인의 섬을 걷다] 울릉도 조경수역 어업전진기지 밝히는 등대

[박상건 시인의 섬을 걷다] 울릉도 조경수역 어업전진기지 밝히는 등대

울릉도는 울진 죽변에서 140㎞, 포항에서 217㎞, 동해 묵호에서 161㎞ 거리에 있다. 독도와는 87.4㎞ 떨어져 있다. 울릉도는 경상북도 울릉군 소재지 섬이다. 동해 깊숙이 치솟은 화산섬으로 유인도 4개, 무인도 40개 등 모두 44개 섬으로 이뤄져 있다. 오각형 모양인 울릉도의 최고봉은 984m의 성인봉이다. 그 북쪽 비탈에 나리분지, 알봉분지가 있다. 다른 섬지역과 달리 물이 풍부한
박상건 기자 2025-06-18 12:53:28
독도야 잘 있느냐

독도야 잘 있느냐

우리땅 독도. 괭이갈매기가 평화로운 독도 해상을 비행 중이다. 독도 동도는 경비대와 등대원이 거주한다. 동도의 최고 높이는 98.6m이다. 동도의 최고봉은 우산봉(于山峰). 1950년대 성걸봉으로 불렸고, 2005년부터 고시 이전까지 일출봉(日出峰)이라 불렸다. 서도의 최고 높이는 168.5m. 서도의 최고봉은 대한봉(大韓峰)이다. 동도와 서도 사이의 거리는 151m. 동도와 서도, 부속 섬들
최바다 기자 2025-05-19 14:01:33
새해 일출

새해 일출

2025년 다시 떠오르는 해를 맞으며푸르고 힘차게 나아가는 파도와 함께이 바다를 항해한다....
박상건 기자 2025-01-03 13:41:30
우리나라 해수면 10.7cm가량 상승

우리나라 해수면 10.7cm가량 상승

우리나라 연안 평균 해수면이 지난 35년(1989~2023년) 동안 매년 3.06mm씩 높아져 총 10.7cm가량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최근 들어 상승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원장 정규삼)은 과거 30년 동안 우리나라 연안 21개 조위관측소 수집 자료를 분석, 2009년부터 매년 해수면 상승 속도를 산정해 발표하고 있다. 이는 기후변화 영향을 확인할
박상건 기자 2024-12-24 15:32:29
[초점] 여의도 면적 2배 수중산맥, 해저협곡 왕돌초

[초점] 여의도 면적 2배 수중산맥, 해저협곡 왕돌초

울진 앞바다 수중에 거대한 바위산 왕돌초가 있다. 울진군 후포항 동쪽으로 23㎞ 떨어진 앞바다에 있는 이 바위산은 물이 낮을 때 아스라이 보이는 간출암이다. 수면으로부터 봉우리는 수심 3~10m, 구릉, 평지는 수심 40~60m이다. 왕돌초는 울진군 후포 쪽에 밀집돼 있고, 해저 구릉지대는 울진, 영덕에 걸쳐 있다. 수중 암초 왕돌초는 여의도 면적의 2배 정도이다. 왕돌초는 수중산맥
박상건 기자 2024-11-27 10:40:02
포항해수청, 소규모 어항에 맞춤형 등대 2기 설치

포항해수청, 소규모 어항에 맞춤형 등대 2기 설치

등대는 지난 120여 년 동안 우리의 바다를 밝게 비추며 해상안전과 해양영토 수호의 첨병 역할을 수행해왔다. 그런데 최근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항법장치)와 DGPS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항법보정시스템) 등에 기반한 스마트 항로표지시스템의 발전은 기존 등대의 소멸, 또는 유인등대의 무인화 현상을 재촉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첨단 스마트 항로표지시스
한규택 기자 2024-02-27 16:04:29
분단의 아픔 머금고 동해안 최북단을 밝히는 고성 ‘대진등대’

분단의 아픔 머금고 동해안 최북단을 밝히는 고성 ‘대진등대’

강원도 고성군에 있는 대진등대는 거진항과 마차진 사이의 돌출된 곶에 자리 잡고 있다. 북쪽으로는 통일전망대 가는 길, 남쪽으로는 화진포 가는 길이다. 동해안 최북단에 위치한 대진등대는 31m 상공에서 북한 해역과 남한 해역을 비춘다. 시야가 좋은 날에는 멀리 해금강은 물론이고 북한지역까지 바라볼 수 있다. 특히 통일전망대 눈앞에 펼쳐지는 해금강의 진면목을 감상할
한규택 기자 2024-02-02 16:39:56
동해해수청, 해상교통 안전 확보 위한 항로표지 인프라 확충 

동해해수청, 해상교통 안전 확보 위한 항로표지 인프라 확충 

포스트 코로나 시기 해상교통량의 증가와 해상관광 활성화로 해상 안전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자율항로시스템의 확산 등 첨단 기술의 활용이 해양 안전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지만, 기존 해상교통 인프라의 확충과 해상 안전시설의 체계적인 관리 또한 안전한 해상교통 환경 조성에 필수적이다. 동해지방해양수산청은 동해안을 운항하는 선박의 안전을 위한 해상교통
한규택 기자 2024-01-09 16:26:42
독도 조망 가능한 울릉도 도동등대 8월 '이달의 등대'에 선정

독도 조망 가능한 울릉도 도동등대 8월 '이달의 등대'에 선정

우리나라 국토 동쪽 끝 울릉도 동단에 위치하며 울릉도와 독도 근해 조업 및 운항 선박의 길잡이 역할을 하는 등대가 있다. 청명한 날에는 등대에서 독도를 조망할 수 있는 그 등대는 울릉도의 동쪽 끝 행남말(杏南末) 끝단(등고 108m)에 위치한 도동등대다. 해양수산부는 8월 이달의 등대로 경상북도 울릉군에 위치한 ‘도동등대’를 선정했다고 지난달 31일 밝혔다. 도동
한규택 기자 2023-08-02 15:16:34
속초시, ‘생물다양성의 날’ 맞아 ‘조도 생태조사·환경정비’ 실시

속초시, ‘생물다양성의 날’ 맞아 ‘조도 생태조사·환경정비’ 실시

어제 5월 22일은 ‘국제 생물 다양성의 날’(International Day for Biological Diversity)이었다. 이날은 생물의 다양성이 사라지는 것과 그에 얽힌 여러 문제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확산하기 위해 유엔(UN)이 제정한 기념일이다. 1994년 제1차 생물다양성협약 가입국 회의에서 협약 발효일(1993년 12월 29일)을 '국제 생물 다양성의 날'로 정한 것이 그 시초다. 이후 2000년 12월 브라질에
한규택 기자 2023-05-23 16:30:36
3.1절에 다시 생각해보는 해양영토 주권수호의 길

3.1절에 다시 생각해보는 해양영토 주권수호의 길

내일은 104주년 3.1절이다. 해마다 3.1절이나 광복절이면 독도가 특별 이벤트의 대상으로 등장한다. 독도는 분명 일본의 역사 왜곡과 영토야욕에 맞서 싸우고 지켜내야 할 우리 땅이다. 하지만 독도의 상징성을 과거사와 영토분쟁에만 국한시키는 것은 연중 이벤트성으로만 독도를 기억하고 잊어버리는 우(愚)를 범하기 쉽다. 독도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해가 뜨는 섬이면서
한규택 기자 2023-02-28 16:58:57
속초시 대포항 동방파제등대, 해수부 12월의 등대에 선정

속초시 대포항 동방파제등대, 해수부 12월의 등대에 선정

대포항은 남쪽에서 속초시로 들어오는 관문이자 동해안 대표 국가 어항이다. 대포항은 개항 100년을 맞은 역사적인 항구이다. 설악산과 척산온천, 동해, 청초호와 영랑호와 함께 속초시 대표 항구다. 대포항은 대규모 관광 어항 단지로 개발돼 일출 명소이자 정치망을 이용한 광어, 넙치, 방어 등 고급 생선 유통 항구로써 다양한 생선을 맛볼 수 있는 동해 대표 항구다. 대포항은
한규택 기자 2022-12-09 16:06:47
[뉴스 화제] 기울어진 고성 아야진 등대의 진실

[뉴스 화제] 기울어진 고성 아야진 등대의 진실

등대는 밤에 항해나 바다의 수로 안내를 돕는 역할은 한다. 주로 항구, 해변의 방파제, 해안선, 외딴 섬 등에 세워진다. 일반인들이 쉽게 마주할 수 있는 등대가 방파제등대이다. 이 등대는 항구를 드나드는 선박의 안전을 위해 설치된 항로표지이다. 항구를 바라볼 때 왼쪽 방파제는 흰색등대, 오른쪽 방파제는 빨간등대이다. 등대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항해하는 선박에게 항
박상건 기자 2022-04-12 12:53:33
[박상건 시인의 섬을 걷다] 삼척시 용화해변~궁촌항 등대

[박상건 시인의 섬을 걷다] 삼척시 용화해변~궁촌항 등대

푸른 하늘이 서서히 열리는 봄날에는 레일바이크를 타고 봄바람 마음껏 맞아가며 동해안 여행을 즐겨보자. 백두대간 줄기가 동으로 뻗어내려 푸른 바다와 만나는 지점의 삼척시 근덕면 해안선은 솔숲이 우거지고 푸른 파도가 물결친다. 바닷가는 기암괴석과 백사장이 펼쳐지고, 낚시체험, 동해를 조망할 수 있는 해상케이블카와 해양레일바이크, 서핑을 즐길 수 있다. 연간 30
박상건 기자 2022-04-04 08:29:09
[박상건 시인의 섬을 걷다] 삼척 장호항과 방파제 등대

[박상건 시인의 섬을 걷다] 삼척 장호항과 방파제 등대

봄날, 갈매기는 푸른 바다와 하늘을 자유로이 날고 어선은 통통대며 방파제 사이를 분주히 오간다. 새벽 바다에서 갓 잡은 물고기들은 위판장에서 경매로 팔리고 대구 등 일부 물고기는 봄바람에 쫀득쫀득 건조 중이다. 바다에 나가지 못한 어부들은 그물코를 손질하며 내일의 희망을 키우고, 답답한 도회지 사람들은 생동하는 포구에서 힐링의 시간을 즐긴다. 그렇게 정겹고
박상건 기자 2022-03-28 16:37:14
[박상건 시인의 섬을 걷다]  양양군 인구항·남애항 등대

[박상건 시인의 섬을 걷다] 양양군 인구항·남애항 등대

양양군 인구항은 작은 항구로 죽도를 사이에 두고 북쪽으로 죽도해수욕장, 남쪽에 인구해수욕장이 이어진다. 인구항은 2007년 어촌정주어항으로 지정됐다. 양양 8경 중 제6경인 죽도정 전망대가 좌측에 있다. 최근 인구항 일대는 서핑 메카로 급부상하면서 항구 주변 시설도 확장되고 항·포구를 순환하는 도로가 개설됐다. 인구항은 해양수산부가 선정한 2021년 어촌뉴딜 30
박상건 기자 2022-02-21 10:47:38
[박상건 시인의 섬을 걷다] 양양군 현남면 동산항·죽도

[박상건 시인의 섬을 걷다] 양양군 현남면 동산항·죽도

동해안 7번 국도 양양군 하조대에서 기사문항과 물치항을 지나면 동산항 이정표를 만난다. 양양군 현남면의 동산항은 지형적으로 동해 쪽으로 툭, 튀어나온 지역이다. 그래서 탁 트인 바다 전망이 더욱 일품이다. 동산항은 아주 작은 지방 어항으로 주로 소형 어선들이 정박한다. 그런데 항구로 들어서는 입구의 바다 풍경이 아주 이색적이다. 하마바위 등 둥글둥글 크고 작은
박상건 기자 2022-02-14 16:28:41
[박상건 시인의 섬을 걷다] 양양군 기사문항·수산항 등대

[박상건 시인의 섬을 걷다] 양양군 기사문항·수산항 등대

동해안 해안선 여행의 명소인 양양에는 서로 닮은 듯 다른 포구마을 기사문항과 수산항이 있다. 이 두 항구는 정적인 자연풍경과 동적인 해양레저문화가 공존한 신개념 해양체험이 가능한 여행지로 특별한 섬과 등대도 함께 한다. 38선과 접한 기사문항은 하얀 백사장을 사뿐사뿐 걷는 기분이 특별한 곳이다. 아직 해변에 잔설이 남아있었는데 모래사장을 밟을 때마다 뽀드득,
박상건 기자 2022-02-07 13:35:09
독도 수중생태계 VR 콘텐츠로 본다

독도 수중생태계 VR 콘텐츠로 본다

독도는 울릉도로부터 87.4km 해상에 떠 있다. 우산도, 삼봉도 등으로 불리다가 1881년 현재의 이름으로 명명됐다. 돌섬, 독섬을 한자로 표기한 게 ‘독도’다. 독도는 식물 60여 종, 곤충 130여 종, 조류 160여 종이 사는 바다의 해양박물관이다. 최근에는 국제적 관심종인 비늘베도라치과의 국내 미기록 어종이 새롭게 발견되기도 했다.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은 우리나라
한규택 기자 2022-01-24 10:30:14
[박상건 시인의 섬을 걷다] 강원도 양양군 하조대·무인등대

[박상건 시인의 섬을 걷다] 강원도 양양군 하조대·무인등대

코로나는 계절에 바뀌어도 세상 물정 아랑곳하지 않고 우리 생활공간마다 아지랑이처럼 나부낀다. 우리는 긴 터널 속에서 코로나와 운명적으로 동행하면서 한편으로 답답한 마음을 훌훌 털어내고만 싶다. 그렇게 어디론가 훌쩍 떠나고 싶은 것은 인지상정. 사회적 거리두기에 동참하면서 찌들고 지친 마음을 속 시원히 풀어헤칠 수 있는 그런 여행길이라면 얼마나 좋으련만. 잠
박상건 기자 2022-01-24 10:13:29
1 2 3

섬TV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망망대해 그 너머연사흘 흰 거품 물고 칠천만 년 꾹꾹 눌러 둔 고독이 마침내 폭발하더니만, 깊고 깊어 푸른 그 그리움 더 어쩌지 못하고 파도소리 뜨겁게 퍼 올려등대 불빛을 밝히는서해 끝 섬 온몸 뒤틀며 태어난 기억파도소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저녁을 먹고 나면 허물없이 찾아가차 한 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입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냄새가 좀 나더라도흉보지 않을 친구가 우리 집 가까이에 있었으면 좋겠다. 비 오는 오후나 눈
송수권, ‘시골길 또는 술통’

송수권, ‘시골길 또는 술통’

자전거 짐받이에서 술통들이 뛰고 있다풀 비린내가 바퀴살을 돌린다바퀴살이 술을 튀긴다자갈들이 한 치씩 뛰어 술통을 넘는다술통을 넘어 풀밭에 떨어진다시골길이 술을 마신다비틀거린다저 주막집까지 뛰는 술통들의 즐거
서정춘, ‘랑’

서정춘, ‘랑’

랑은이음새가 좋은 말너랑 나랑 또랑물 소리로 만나서사랑하기 좋은 말 - 서정춘, '랑’ 전문 팔순 고갯마루의 서정춘 시인이 제 7시집 ‘랑’을 펴냈다. 시집은 39쪽에 작품 31편 뿐이다. 작품들 역시 10행 미만으로 짧
박화목, '보리밭'

박화목, '보리밭'

보리밭 사이길로 걸어가면뉘 부르는 소리 있어 나를 멈춘다옛 생각이 외로워 휘파람 불면고운노래 귓가에 들려온다 돌아보면 아무도 보이지 않고저녁놀 괸 하늘만 눈에 차누나박화목, ‘보리밭’ 전문 괜스레 “외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