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도

석가모니가 머물다 간 섬 세존도

석가모니가 머물다 간 섬 세존도

세존도는 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 상주리에 위치한 무인도다. 세존도 면적은 3만3000㎡이다. 남해군의 남쪽 끝부분에 위치하고 육지에서는 직선거리로 25km 정도 떨어져 있다. 세존도가 해수부의 10월 이달의 무인도서로 선정됐다. 세존도는 뾰족한 기암괴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형상이 마치 해룡 두 마리가 몸을 비비는 것 같이 보이기도 하고, 정교하게 쌓아 올린 성벽처럼
한민정 기자 2021-10-06 09:09:48
하늘에서 내려다보면 충견을 닮은 섬, 개섬

하늘에서 내려다보면 충견을 닮은 섬, 개섬

해양수산부는 4월 이달의 무인도서로 개섬(구도)을 선정했다. 개섬은 경상남도 사천시 서포면 다평리에 위치한 면적 5만6926㎡의 작은 무인도다. 개섬은 하늘에서 내려다보면 어미 개가 작은 개(소개섬)를 향해 짖는 모양으로 생겼다 헤ㅐ서 붙여진 이름이다. 한자로는 ‘구도(狗島)’라고 표기한다. 이 섬의 명칭에 깃든 전설로 ‘노부부와 충견’의 이야기도 전해
박상건 기자 2021-04-16 08:40:13
[포토뉴스] 무인도 죽도

[포토뉴스] 무인도 죽도

약산도는 해남반도와 고흥반도 정 중앙에 위치한 섬이다. 완도에 딸린 섬으로 완도항에서 동북쪽 약 18㎞ 해상에 떠 있는 섬이다. 1946년 해방 이후 고금면에서 분리돼 독립 면소재지 섬이 되었다. “약재가 많은 산”이라는 뜻에서 ‘약산(藥山)’이라 부른다. 사진은 약산도의 무인도 죽도다. 대나무가 무성하게 자생하는 섬이다. 대나무가 울창한 마을이라고 하여
박상건 기자 2021-04-14 09:50:20
[뉴스 화제] 고해상도 광학위성 활용해 무인도 환경문제 파악

[뉴스 화제] 고해상도 광학위성 활용해 무인도 환경문제 파악

현재 국내에는 2800여 개의 무인도가 있다. 무인도는 동서남북의 파도에 밀려오는 쓰레기들로 인해 환경오염으로 몸살을 앓는다. 지리적 특성상 접근이 어렵고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어 무인도의 해안가에 몰려든 쓰레기 실태를 조사하는 데도 한계가 있다. 이에 국립해양조사원 국가해양위성센터는 고해상도 광학위성을 활용하여 무인도 해안쓰레기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박상건 기자 2020-12-30 09:40:45
1

섬TV

서정춘, ‘랑’

서정춘, ‘랑’

랑은이음새가 좋은 말너랑 나랑 또랑물 소리로 만나서사랑하기 좋은 말 - 서정춘, '랑’ 전문 팔순 고갯마루의 서정춘 시인이 제 7시집 ‘랑’을 펴냈다. 시집은 39쪽에 작품 31편 뿐이다. 작품들 역시 10행 미만으로 짧
박화목, '보리밭'

박화목, '보리밭'

보리밭 사이길로 걸어가면뉘 부르는 소리 있어 나를 멈춘다옛 생각이 외로워 휘파람 불면고운노래 귓가에 들려온다 돌아보면 아무도 보이지 않고저녁놀 괸 하늘만 눈에 차누나박화목, ‘보리밭’ 전문 괜스레 “외로
유인등대의 무인화 정책 이대로 좋은가?

유인등대의 무인화 정책 이대로 좋은가?

현재 우리나라 유인등대의 무인화 정책의 시작은 1994년 격렬비도등대가 무인화 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하여 유인등대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의 가족과 떨어진 외로움, 생활식수, 연료운반, 자녀교육 등 열악한 근무환경을
마음에 걸림이 없고, 걸림이 없어  두려움이 없는 명상

마음에 걸림이 없고, 걸림이 없어 두려움이 없는 명상

마음에 걸림이 없고, 걸림이 없어서 두려움이 없는 마음, 그렇게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살고 싶은 것은 인지상정. 우리 사회 곳곳에서 감사와 배려, 겸손과 자비의 명상바람이 새 물결로 출렁출렁 물결치고 있다. 절에서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것, 갈대는 저를 흔드는 것이 제 조용한 울음인 것을 까맣게 몰랐다. - 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