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피는 연안의 모래나 펄 바닥에 뿌리를 내리고 사는 여러해살이 바다 식물이다. 잘피 생태계는 어민들 삶의 터전인 바다의 풍요로운 미래를 가늠하는 척도로 통한다. 연중 무성한 군락을 이뤄 어린 물고기의 은신처가 되고 풍부한 산소와 유기물은 수산생물들이 서식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사진은 양양군 동산항 어항 바닷속 풍경이다.
강화도 특산품 중 하나가 순무이다. 동의보감에 “봄에는 새싹을 먹고 여름에는 잎을 먹으며, 가을에는 줄기를 먹고 겨울에는 뿌리를 먹는 순무는 황달을 치료하고, 오장에 이로우니, 순무 씨를 아홉 번 찌고 말려서 오래 먹으면 장생할 수 있다”고 기록돼 있다. 코로나로 답답한 마음을 털고자 강화도로 떠났다가 막 담근 순무를 샀다. 강화도 순무는 생김새가 팽이모양
길어지는 코로나. 답답한 마음을 훌훌 털어내기에는 동해안만 한 곳도 없다. 양양의 하조대 해변은 바다 빛깔이 유난히 파랗다. 마치 지중해를 연상시키는 에머럴드빛 바다가 인상적이다. 드넓은 백사장의 길이는 1.5km, 너비 100m, 모래도 아주 부드럽다. 수심이 깊지 않고 가족 여행 코스로 좋다.
화성시 송산면 우음도. 이 섬의 역사와 생태를 둘러볼 수 있는 둘레길, 야외학습장이 조성돼 있다. 갈대숲을 걷는 청소년들이 생태체험 중인 모스빙 보인다. 둘레길은 시화방조제가 생기기 이전의 섬 역사와 자연을 체험할 수 있는 코스로 총 1.65㎞ 구간. 특히 우음도 둘레길 구간 중 선캄브리아기 지질특화지역의 지질학습장은 여행객들이 꾸준히 찾는다.
강화군 길상면 초지리에 있는 초지진. 초지진은 조선후기 해상으로 침입하는 적을 막기 위해 구축한 진지이다. 초지대교는 강화군 길상면 초지리와 김포시 대곶면 약암리를 잇는 다리다. 1996년 착공해 2001년 8월 완공됐다. 다리 길이는 720m이고 왕복 4차선으로 섬과 내륙을 잇는 연륙교이다. 교량부에 900mm의 상수도관과 300mm의 도시가스관이 함께 설치돼 있다. 주변에는 맛집이
제주 함덕 서우봉 해바라기 풍경이다. ‘함덕’ 지명은 함씨가 놓은 돌다리인 ‘함다리’를 한자화하면서 넓은 바위를 의미하는 덕(德) 자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함덕서우봉해변은 해변 동쪽에 있는 서우봉(오름) 때문이다. ‘서우’ 명칭은 봉우리가 물소(犀牛)를 닮았다는 데에서 유래했다. 함덕 서우봉은 높이가 111.3m, 남북 700m, 동서 500m이고 둘레
꽃무릇은 여러해살이 알뿌리 식물로 9월이면 선홍색 꽃이 무리지어 핀다. 가을에 꽃이 피고 진 후 잎이 나오기 때문에 꽃과 잎이 만날 수 없어 ‘이뤄질 수 없는 사랑’이라는 꽃말을 갖고 있다. 안산시 상록구는 코로나 블루 해소와 아름다운 볼거리를 제공하고자 한대앞역 녹지대에 꽃무릇 단지를 조성했다. 선홍색으로 가득 채워진 꽃무릇 단지는 시민들에게 코로나19
신안군에서 생산된 천일염은 국내 천일염의 78%를 차지한다. 신안군의 총 면적은 655.60㎢이다. 이 가운데 임야 25.35㎢, 밭 107.76㎢, 논 103.29㎢, 염전이 37.11㎢를 차지한다. 의식주 공간에서 논밭을 제외하면 염전 비중이 가장 크다. 신안군 염전은 광복 후 섬에서 한국인 최초로 천일염을 생산한 곳이다. 천일염 생산에 최초로 성공한 사람은 비금도 출신이고 이후 마을 주민들이 조
2021년 걷고 싶은 전남 숲길로 선정된 솔바람 숲길 풀베기 작업 장면이다. 최근 무안군 해제면 솔바람 숲에서는 해제면 자율방범대 봉사자 20여 명이 추석을 맞아 풀베기 작업을 실시했다. 이번 봉사활동으로 주민과 방문객들에게 쾌적한 산책로와 탁 트인 바다 조망권을 조성해 힐링 포인트를 제공한 셈이다. 솔바람 숲길은 코로나19로 지친 심신을 위로할 수 있는 명품 숲길 중
충남 보령시 미산면에 보령호가 있다. 1998년 10월 준공됐다. 성주면 성주산과 외사면 성태산에서 발원된 두 개의 작은 하천이 만나 이뤄지는 웅천천에 댐을 막아 물을 가두어 미산면 풍계리 · 용수리 · 평라리 등이 호수에 잠기고 아미산 · 양각산의 허리까지 물이 들어찬다. 보령호 주변 경관은 아주 수려하여 이설도로를 따라 푸른 물을 감상하며 드라이브할 수
오마이스 태풍으로 벌써 남해안 장흥군 노력항은 문이 닫혔다. 육지도 바다도 통제됐다. 오마이스 태풍은 17일 21시 괌 서쪽 약 210km 부근 해상, 18일 21시 괌 서북서쪽 약 680km 부근 해상, 19일 21시 일본 오키나와 남동쪽 약 1180km 부근 해상, 20일 21시 일본 오키나와 남남동쪽 약 740km 부근 해상을 지나서, 23일 오늘 밤 9시쯤 제주도를 관통해 밤사이 남해안에 상륙했다. 사진은 21일 오
천방산과 맑은 물이 넘실거리는 문산저수지 그리고 아름다운 들녘이 어우러진 문산면은 과거 선비들의 낙향지이자 학자들이 운집하여 살던 곳으로 지역 어디를 가더라도 농촌의 여유와 풍요로운 기운이 느껴지는 곳이다. 그러나, 지속적인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인하여 60~70년대 8000명이 넘던 인구는 현재 1000여 명대로 급격히 감소했다. 거리에는 아이들의 모습과 상점가의 모
태안해양경찰서 구조대가 지난달 25일 전복선박 1명을 구조하는 모습이다. 태안해경은 이날 갯바위 고립자 3명도 구조했다. 갯바위 고립자는 쥐꼬리섬 갯바위에서 낚시하다 물때를 알지 못하고 차오르는 바닷물에 갇힌 경우다. 이어 새벽 4시 47분경 학암포파출소 연안구조정에 구조됐다. 석도 인근 해상에서는 낚시하다가 너울성 파도에 배가 뒤집혔다. 사고 선박은 손을 흔들
통영시 한산면은 지난 6일 관광객 및 시민들이 많이 찾는 한산면 봉암해수욕장 일대 환경정비를 실시했다. 여름 휴가철을 맞아 관광객과 지역 주민들이 깨끗하고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즐길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 이날 한산도 쾌적한 바다환경 제공을 위한 정비작업에는 한산면 자생단체, 면 직원, 노인 등 20여명이 참여해 해양쓰레기 약 2톤을 수거했다.
3면이 바다인 우리나라는 무궁무진한 해양 생산력을 갖고 있지만 적조현상, 고온수온상승 등으로 해양문제가 불거지면 동해, 서해, 남해안을 삶터로 삼아 살아가는 어민들은 애가 끓는다. 지난달 12일 통영시를 포함한 전국 연안에 고수온 관심 단계가 발령되고 8월 초부터 본격적인 고수온 확산 및 적조 발생이 예상됨에 따라 가두리 양식장 등 피해가 잇따랐다. 사진은 통영시
고흥군은 지난 5일부터 10일까지 남부지방 장마기간에 약 400mm의 강우로 석류가 급격하게 수분흡수를 해 열매가 터지는 등 병원균 침입이 용이해져 피해가 심해졌다 열매썩음병은 석류에서 개화기부터 수확기까지 발생하는 세균성 병으로 과실 끝부분에 병원균이 침입하여 물러지며 갈색으로 변하면서 낙과가 되며, 강우가 많고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심하게 발생한다. 고흥군은
홍성군 홍북읍이 버스승강장을 용봉산, 홍예공원 등 관광명소 사진으로 단장해 눈길을 끌고 있다. 흥북읍에 따르면 읍내 버스승강장 27개소에 용봉산, 홍예공원, 이응노의 집 등 관광명소의 사진을 전시, 버스를 이용하는 지역주민과 관광객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고 내포신도시 등 지역 홍보에 기여하고 있다. 안기억 홍북읍장은 “이번 관광명소 사진이 홍북읍민에게는
안산시 대부해양본부 인근에 조성한 해바라기 꽃밭을 찾아줄 것을 당부했다. 안산시 대부해양관광본부는 지난 4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시민들의 ‘코로나 블루’를 해소하고 아름다운 볼거리를 제공하고자 유휴지에 축구장 1개 면적보다 조금 넓은 약 8000㎡ 규모의 해바라기 꽃밭을 조성했다. 노란색으로 가득 채워진 해바라기 꽃밭은 대부도를 찾는 여행객과 인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