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5일 (일)

해안선

경남 거제시 장승포항 야간경관 조명 설치

경남 거제시 장승포항 야간경관 조명 설치

거제시는 최근 장승포항 야간경관조명 설치사업을 완료했다. 장승포동 장승로 일원의 야간경관조명 조성은 지난 2017년 4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4단계에 걸쳐 진행됐다. 시는 도시생활 환경개선 국고 보조사업으로 모두 39억6000만원을 들여 예전 여객선터미널 광장연출, 문화예술회관 빛의 영상연출, 빛의 동백수술 연출, 맛・멋 향기 나는 거리조성 등 단계를 걸쳐 야간경관조
김충호 기자 2021-01-13 08:53:01
[뉴스 화제] 수확기・품종 따라 맛이 다른, 제주감귤 고르는 법

[뉴스 화제] 수확기・품종 따라 맛이 다른, 제주감귤 고르는 법

겨울철 인기 과일 중 하나가 감귤이다. 감귤은 코로나19으로 실내생활이 잦은 요즘 면역력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준다. 비타민이 부족하기 쉬운 겨울철에 감귤을 찾는 이유다. 감귤에는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는 비타민C가 풍부하게 함유돼 있어 1∼2개만으로 하루 권장량 60mg을 섭취할 수 있다. 감귤은 품종도 다양하고 수확시기, 재배장소에 따라 맛이 달라진다. 내 몸에 맞는 감
박월선 기자 2021-01-13 08:47:37
코로나로 블루 어린 연어 보며 이겨내요

코로나로 블루 어린 연어 보며 이겨내요

울주군 태화강생태관은 5월까지 생태관 2층 회귀어류 전시구간에 어린 연어를 전시한다. 생태관은 지난해 10월 30일부터 12월 4일까지 옹기를 만들어 가져오면 연어 알을 집에서 관찰할 수 있는 연계형 생태프로그램을 진행했다. 그러나 군은 여러 사정으로 사전 신청을 못한 관람객을 위해 어린 연어 전시를 기획·진행하게 됐다. 어린 연어는 수정 후 약 30일(8℃ 기준)이 지
김충호 기자 2021-01-12 12:58:37
제주농업기술센터, 노지감귤, 만감류 등 온라인교육 확대

제주농업기술센터, 노지감귤, 만감류 등 온라인교육 확대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 제주농업기술센터는 올해 품목별 농업인전문 교육과정인 노지감귤, 만감류 등 6과정을 온라인을 활용 확대 운영한다고 밝혔다. 교육과정은 노지감귤 4회 80명, 만감류 5회 80명, 노지감귤 전정 12회 50명, 친환경농업 5회 50명, 원예작물 5회 50명, 텃밭가드닝 5회 50명 등 36회에 걸쳐 연인원 2150명 계획이다.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됨에 따라
한규택 기자 2021-01-12 09:35:20
동해 묵호항, 해양문화 관광거점으로 재탄생

동해 묵호항, 해양문화 관광거점으로 재탄생

묵호항이 동해의 새로운 해양문화 관광 거점으로 재개발된다. 동해지방해양수산청은 노후·유휴 항만공간 재개발을 통해 지역의 새로운 성장거점을 마련하고, 민간투자유치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해양수산부에서 ‘제3차 항만재개발 기본계획’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이 계획은 ‘항만재개발법’ 제5조에 따라 10년 단위로 수립, 제3차는 2021년∼2030
한규택 기자 2021-01-11 12:54:19
[뉴스 화제] 러시아에서 방사된 멸종위기 1급  황새, 해남에서 발견

[뉴스 화제] 러시아에서 방사된 멸종위기 1급 황새, 해남에서 발견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은 세계자연기금 러시아지부가 지난해 현지에서 방사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황새 1마리를 전남 해남에서 최근 발견했다고 밝혔다. 세계자연기금 러시아지부는 지난해 6월 극동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역에서 탈진한 상태인 어린 황새 1마리를 구조하고, 현지 재활센터에서 회복과정을 거쳐 그해 8월 13일 항카호 북부지역의 예브레이스카야 자치주
김충호 기자 2021-01-08 08:57:22
[해안선 여행] 충남 태안군 남면 마검포항

[해안선 여행] 충남 태안군 남면 마검포항

마검포항은 충청남도 태안군 남면 마검포길 427-26에 있다. 2개의 섬 모양 선착장에 작은 어선들이 드나드는 조용하고 한적한 포구다. 바닷물이 매우 맑고 깨끗하여 해산물이 풍부하게 서식하며 바닷가에서 조개와 게, 소라 등을 쉽게 잡을 수 있어 조개잡이와 낚시 명소다. 바닷가 언덕에 소나무 숲이 우거져 있고 그 너머로 드넓은 모래사장이 펼쳐져 있다. 가까이에 장길산 촬
박상건 기자 2021-01-08 08:50:54
신안 시금치 ‘섬초’ 제철…단맛 강하고 항암성분 높아

신안 시금치 ‘섬초’ 제철…단맛 강하고 항암성분 높아

신안 시금치 ‘섬초’가 제철을 맞았다. 섬초는 단맛이 강하고 영양 성분이 풍부한 게 특징이다. 게르마늄 성분이 가득한 땅에서 자라 다른 지역의 시금치와 달리 항암 성분 높다. 수확한 뒤 며칠이 지나도 잘 시들지 않는 등 겨울철 채소 가운데 으뜸으로 꼽힌다. 신안군 비금도에 생산하는 섬초는 청정한 해풍을 맞으며 100% 노지에서 자란다. 위로 자라지 않고 옆으로
박월선 기자 2021-01-07 15:19:56
마산항에 시민 위한 국내 최대 해양친수공원 만든다

마산항에 시민 위한 국내 최대 해양친수공원 만든다

마산지방해양수산청은 540억 원을 투입하여 마산항 서항지구 친수공원 및 마산구항 방재언덕 친수공원을 올해 6월에 완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마산항 서항지구 친수공원 조성사업은 서항지구 일원 22만㎡를 레포츠공간~중심 공간~문화예술공간~역상상징공간의 4개 구역으로 나누어 조성하는 국내 최대의 해양친수공원 사업이다. 마산구항 방재언덕 친수공원사업은 지난 2018
한규택 기자 2021-01-07 08:47:44
[박상건 시인의 '섬을 걷다'] 7번국도 끝자락 강원도 고성군 아야진항 방파제등대

[박상건 시인의 '섬을 걷다'] 7번국도 끝자락 강원도 고성군 아야진항 방파제등대

부산에서 시작된 7번 국도는 동해안 북쪽으로 삼척~동해~강릉~양양~속초를 거쳐 고성에서 끝난다. 아야진은 고성군 최남단에 위치한다. 속초에서 북쪽으로 6km 거리에 있다. 아야진은 1950년대에는 북한 땅으로 군사분계선에 가까워 여행자들 발길이 뜸한 어촌이었다. 2003년 금강산 육로관광이 시작되면서 여행자들이 늘기 시작했다. 지난 2018년에 60여 년간 해안가를 가로막던 군
박상건 기자 2021-01-05 09:21:15
제주도, 미세먼지 없는 도시 바람길 숲 조성에 박차

제주도, 미세먼지 없는 도시 바람길 숲 조성에 박차

제주특별자치도는 미세먼지 저감 및 도시열섬화 완화를 위해 도시숲과 명상숲 조성, 도심지 가로수 정비 및 공익조림 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제주도는 올해 제주시와 서귀포시 녹색쌈지숲 15ha와 학교숲 4개교를 조성하고, 도시바람길숲은 올해의 설계를 바탕으로 산림청의 지원을 받아 2022년까지 본격적인 바람길숲 조성에 돌입할 예정이다. 그리고 도시열섬화와 미세먼지
김충호 기자 2021-01-04 10:36:23
속초해수욕장 연안정비사업으로 해변의 진면목 되찾아

속초해수욕장 연안정비사업으로 해변의 진면목 되찾아

동해지방해양수산청은 속초해수욕장 북측 끝단에서 해수욕장 후문에 이르는 80m 구간 연안에 속초해수욕장 연안정비사업을 최근에 모두 마쳤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총 374억원을 투입하여 지난 2015년 1월 착공 후 약 5년 1개월간 공사를 거쳐 잠제 3기(390m), 헤드랜드 1기(190m), 백사장 양빈사업 등이 추진됐다. 속초시의 유일한 해수욕장인 속초해수욕장은 해마다 너울성 고파랑
박상건 기자 2021-01-04 09:58:15
목포 북항, 수산업의 중심 항구로 재탄생한다

목포 북항, 수산업의 중심 항구로 재탄생한다

목포는 전국 어업생산량의 56%를 차지하는 수산물 최대 집산지다. 대중국 수출전진기지로써 적합한 지리적 이점 등 전국 제1 수산도시로의 성장 잠재력을 갖추고 있다. 반면, 냉동ㆍ냉장창고, 유통시설 등 수산식품기반시설이 뒷받침되지 못해 풍부한 수산자원이 고소득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목포시는 북항에 수산기반시설을 대거 확충하고 수산업의 중심 항구
김충호 기자 2020-12-31 08:09:20
[포커스] 먼 섬들 국가어항, 스마트 시스템으로 선제적으로 관리

[포커스] 먼 섬들 국가어항, 스마트 시스템으로 선제적으로 관리

해양수산부는 노후화된 국가어항 시설을 선제적으로 유지관리하기 위해 내년에 국가어항 중 현포항, 우이도항, 능양항 3개소에 스마트 어항 유지관리체계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현재 전국에 있는 국가어항은 육지지역 79개, 도서지역 34개 등 총 113곳이다. 이 가운데 도서지역 국가어항은 20년 이상 된 방파제, 소형선 부두 등 노후시설 비율이 37.5%에 이르고, 입, 출도에만 2일이
박상건 기자 2020-12-31 07:38:36
[뉴스 화제] 울산 일산해수욕장에는 바다 속에 방파제가 있다

[뉴스 화제] 울산 일산해수욕장에는 바다 속에 방파제가 있다

방파제는 보통 포구 좌우 수면 위에 설치한다. 그리고 양쪽에 등대가 설치돼 입출항하는 선박의 항로표지 기능항 수행한다. 울산시 동구에 소재한 일산해수욕장에는 바다 속에 방파제가 있다. 연안환경개선을 위하여 고늘지구 연안정비사업 차원에서 추진한 이 방파제 공사가 지난 23일 마무리됐다. 이 사업은 일산해수욕장의 자갈화 현상 및 해안침식 방지를 위한 수중방파
박상건 기자 2020-12-31 07:33:04
인천항 11월 컨테이너 물동량 최대 기록 경신

인천항 11월 컨테이너 물동량 최대 기록 경신

인천항 11월 컨테이너 물동량을 집계한 결과 29만5259TEU를 기록하면서 기존 월간 물동량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인천항만공사는 지난달 인천항에서 처리한 컨테이너 물동량이 역대 월 물동량 중에서 최대 기록이었던 올해 7월 29만3172TEU보다 2087TEU 많은 29만5259TEU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11월까지 누계로는 298만3251TEU로 지난해 11월 누계 282만933TEU 대비 5.8%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지
한규택 기자 2020-12-30 08:40:43
[해안선 기행] 남방큰돌고래 보며 노을해안로 걷기

[해안선 기행] 남방큰돌고래 보며 노을해안로 걷기

남방큰돌고래는 인도양과 서태평양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는 중형 돌고래로 우리나라에서는 서식하기에 적합한 수온인 제주도 연안에 주로 분포한다. 남방큰돌고래는 무리지어 살며, 작게는 2∼3마리, 많게는 70∼80마리가 모여서 함께 생활한다. 남방큰돌고래는 주로 해안가 100~200m 이내에서 서식하기 때문에 육지에서 쉽게 볼 수 있으며, 심지어 먹이를 따라 갯바위
박상건 기자 2020-12-30 08:37:57
목포수협 올해 위판고 2000억원 돌파, 사상 최고액 기록

목포수협 올해 위판고 2000억원 돌파, 사상 최고액 기록

전남 목포수협은 올해 위판고 2000억원을 돌파해 사상 최고액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목포수협 설립 84년 만에 전국 91개 수협 전체에서 위판고 1위를 차지했다. 연말까지 위판고 총액은 2050억원이 예상되며 이 위판고는 지구별 수협 역사상 최고실적이다. 종전 기록은 지난 2017년 여수수협 2026억원이다. 코로나19, 지구온난화, 해양환경 오염 등으로 인한 전국 수협 위판고 감소에
김충호 기자 2020-12-29 09:59:46
[해안선 기행] 붉은 난초섬, 경남 고성군 자란도

[해안선 기행] 붉은 난초섬, 경남 고성군 자란도

경남 고성군 하일면의 자란도는 하일면 사무소에서 서남쪽으로 6㎞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다. 섬 면적은 0.367㎢, 해안선 길이는 3.31㎞이다. 섬에는 읍포(邑浦)와 사포(沙浦)의 두개 자연 취락이 있다. 읍포마을은 옛날 고을원님이 살았다고 해서 읍포라 불렀고 사포는 모래사장이 있어서 그리 불렀다고 전한다. 섬 정상에는 성(城)이 있으며 이 성에서 말달리기도 하고 또 말을 사
박상건 기자 2020-12-23 09:21:52
부산항 환적화물 코로나19 확산 속에서도 힘찬 항해

부산항 환적화물 코로나19 확산 속에서도 힘찬 항해

코로나19로 글로벌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부산항 환적 물동량이 올해 3% 증가해 수출입 물동량의 6%대 하락으로 인한 부산항 전체 컨 물동량 하락을 상당 부분 상쇄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세계 주요 환적항만인 싱가폴항과 두바이항의 환적물동량 성장율이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더욱 돋보이는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주요 환적항만 환적 물동량은 3분기 기준으
김충호 기자 2020-12-22 14:46:53

섬TV

나희덕, ‘저 물결 하나’

나희덕, ‘저 물결 하나’

한강 철교를 건너는 동안잔물결이 새삼스레 눈에 들어왔다얼마 안 되는 보증금을 빼서 서울을 떠난 후낯선 눈으로 바라보는 한강,어제의 내가 그 강물에 뒤척이고 있었다한 뼘쯤 솟았다가 내려앉는 물결들,서울에 사는 동안 내
서정춘, ‘랑’

서정춘, ‘랑’

랑은이음새가 좋은 말너랑 나랑 또랑물 소리로 만나서사랑하기 좋은 말 - 서정춘, '랑’ 전문 팔순 고갯마루의 서정춘 시인이 제 7시집 ‘랑’을 펴냈다. 시집은 39쪽에 작품 31편 뿐이다. 작품들 역시 10행 미만으로 짧
박화목, '보리밭'

박화목, '보리밭'

보리밭 사이길로 걸어가면뉘 부르는 소리 있어 나를 멈춘다옛 생각이 외로워 휘파람 불면고운노래 귓가에 들려온다 돌아보면 아무도 보이지 않고저녁놀 괸 하늘만 눈에 차누나박화목, ‘보리밭’ 전문 괜스레 “외로
유인등대의 무인화 정책 이대로 좋은가?

유인등대의 무인화 정책 이대로 좋은가?

현재 우리나라 유인등대의 무인화 정책의 시작은 1994년 격렬비도등대가 무인화 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하여 유인등대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의 가족과 떨어진 외로움, 생활식수, 연료운반, 자녀교육 등 열악한 근무환경을
마음에 걸림이 없고, 걸림이 없어  두려움이 없는 명상

마음에 걸림이 없고, 걸림이 없어 두려움이 없는 명상

마음에 걸림이 없고, 걸림이 없어서 두려움이 없는 마음, 그렇게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살고 싶은 것은 인지상정. 우리 사회 곳곳에서 감사와 배려, 겸손과 자비의 명상바람이 새 물결로 출렁출렁 물결치고 있다. 절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