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건

노을이 다 지도록 오지 않는 사람을 기다리는 구슬픈 노래

노을이 다 지도록 오지 않는 사람을 기다리는 구슬픈 노래

경북 울진군 풍경은 강원도 심산유곡 절경과 어우러진 해안선, 그 앞으로 푸르고 육중하게 출렁이는 동해가 열린다. 명품해안도로 7번국도 따라 철썩철썩 파도치는 울진 망양정 지나 한반도 지도의 허리께 해안선을 따라 달리다 보면 망양휴게소다. 다시 사동항 지나 구산, 월송정 지나 후포항에 다다른다. 포항 방면에서 떠날 때는 강구항, 영덕 축산항, 고래불, 백석해수욕장
박상건 기자 2020-01-07 09:39:58
입맛 돋우는 겨울 별미 ‘송어‘와 ‘김’

입맛 돋우는 겨울 별미 ‘송어‘와 ‘김’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2020년 새해 첫 이달의 수산물로 ‘송어’와 ‘김’을 선정했다. 송어는 비타민과 각종 무기질, 불포화지방산을 많이 함유하여 면역력 강화와 신진대사 촉진에 효능이 있다. 또한 성장기 어린이의 두뇌 발달과 노인들의 치매 예방에도 좋으며, 영양가는 높고 지방과 칼로리는 낮아 다이어트와 보양식으로도 좋다. 송어는 주로 회로 먹는
박상건 기자 2020-01-06 07:30:48
해수부, 1월 이달의 등대로 ‘묵호등대‘ 선정

해수부, 1월 이달의 등대로 ‘묵호등대‘ 선정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2020년 1월 이달의 등대로 강원도 동해시에 위치한 ‘묵호등대’를 선정했다. 묵호등대는 1963년 6월 처음 세워졌으나, 등대가 점차 노후되어 2007년에 24m 높이로 새롭게 건립되었다. 새 묵호등대는 동해바다와 백두대간의 두타산 · 청옥산을 조망할 수 있는 등대전망대, 정자 등 시설을 갖추었다. 특히, 야외광장에는 1968년 개봉한 영화 ‘
박상건 기자 2020-01-03 13:35:50
해양수산부, 서해 남해안 저수온 주의 당부

해양수산부, 서해 남해안 저수온 주의 당부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연말연시에 일시적으로 강한 한파가 발생하여 우리나라 연안에 국지적으로 저수온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지난 27일 오후 2시부로 서해와 남해연안에 저수온 관심단계를 발령했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우리나라에서도 겨울철 이상한파가 발생하고 있어 이에 따른 양식생물 피해예방이 필요하다. 국립수산과학원의 해양기후 분석 결
박상건 기자 2019-12-30 10:22:36
700톤급 수산과학조사선 ‘탐구3호’ 취항

700톤급 수산과학조사선 ‘탐구3호’ 취항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최완현)은 지난 17일 오후 2시부터 부산 대변항 국가어업지도선 전용부두에서 700톤급 수산과학조사선 신형 ‘탐구3호’ 취항식을 개최했다. 202억 원을 투입해 건조한 신형 탐구3호는 797톤으로 최대 15.5노트의 속도로 항행할 수 있다. 승무원과 연구원 30명이 승선해 중간 보급 없이 최대 30일 동안 항해하며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 탐구3호
박상건 기자 2019-12-26 07:35:10
[박상건 시인의 '섬을 걷다'] 동해로 가는 대풍감에서 365일 항해의 길잡이

[박상건 시인의 '섬을 걷다'] 동해로 가는 대풍감에서 365일 항해의 길잡이

울릉도는 동쪽에 울릉읍이 있고 서쪽에 서면, 북쪽에 북면으로 1개 읍 2개면으로 이뤄져 있다. 2019년 8월 현재 전체 인구 9,802명 가운데 울릉읍이 6,899명, 북면이 1,469명을 차지하고 있다. 섬은 44개이고 유인도가 4개, 무인도가 40개이다. 울릉도는 512년 지증왕 때 신라 이사부가 독립국 우산국을 점령 후 우릉도, 무릉도로 불리다 1915년부터 현재에 이른다. 울릉도는 섬 전체가 화산
박상건 기자 2019-12-24 15:53:09
[박상건 시인의 '섬을 걷다'] 울릉도 개척 어촌과 오징어잡이 불 밝히는 등대이야기

[박상건 시인의 '섬을 걷다'] 울릉도 개척 어촌과 오징어잡이 불 밝히는 등대이야기

울릉도는 3무(無), 5다(多)의 섬이다. 도둑, 공해, 뱀이 없고 물과 돌, 바람, 향나무, 미인이 많다는 뜻이다. 경상북도 울릉군 소재지 섬인 울릉도는 묵호에서 161km, 포항에서 217km 거리에 있다. 육지와 최단거리는 경북 울진 죽변항에서는 130.3km 거리이다. 섬 면적은 72.91㎢, 해안선 길이는 64.43km이다. 독도와 87.4㎞ 떨어져 있다. 유인도가 4개, 무인도가 40개이다. 2019년 7월 현재 5,500
박상건 기자 2019-12-24 15:43:53
문화예술의 혼이 깃든 유배지 진도

문화예술의 혼이 깃든 유배지 진도

진도는 예술 · 미술 · 판소리 · 강강수월래 · 고려시대의 삼별초항몽전적지 · 홍주 등 열거하기 어려울 정도로 전통문화와 예술, 그리고 유배지로도 잘 알려진 곳이다. 진도는 해남에서 연륙교로 연결되어 있기에 진도 본도는 섬이 아니다. 전국의 유배지 가운데서 진도는 왕의 특별한 분부가 있어야 유배지로 배정되는 혹독한 형벌의 땅이었다. 그래서
박상건 기자 2019-12-20 16:15:17
등대캠프로 해양 르네상스 열자

등대캠프로 해양 르네상스 열자

등대는 섬, 곶, 방파제 등에 설치되어 선박안전하게 항해하기 위한 지표 역할을 한다. 등대는 바다의 뱃길을 인도하는 항로표지의 일종으로 관리인이 상주하여 근무하는 유인등대와 관리인이 상주하지 않고 순회 점검하며 관리하는 무인등대로 구분된다. 우리나라 연안의 육지와 섬에는 39개의 유인등대가 운영되고 있으며 대부분 해안가 명승지에 위치한다. 유인등대는 바다
박상건 기자 2019-12-20 16:09:40
3.1운동 100년과 항일 등대의 역사

3.1운동 100년과 항일 등대의 역사

110년 전 남해안 서단에 위치하는 절해고도 당사도에서 일본의 제국주의 침략의 야욕으로 건립한 당사도 등대에 근무하는 일본인을 상대로 항일운동을 하였던 우리 선조들의 기상과 독도에 등대가 건립되어 우리나라가 실효적 지배를 하고 있는 고유 영토의 분쟁의 야욕을 없애기 위하여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등대의 항일 운동사를 뒤돌아보고자 한다. 1894년2월15일 보국안민
박상건 기자 2019-12-20 16:01:05
K-팝 공연이 열리는 등대

K-팝 공연이 열리는 등대

칠흑 같은 어둠이 내린 밤바다를 항해하는 사람들은 멀리서 깜박이는 등대 불빛을 발견하고는 가슴 조렸던 마음을 쓸어내리고 안도의 한숨을 들이마신다. 등대의 역할이 중요하게 거론되지만 실제 밤바다에서 등대를 이용해 보지 않은 사람들은 등대의 가치를 제대로 모른다. 밤바다에 반짝이는 등대는 적색, 녹색, 백색, 황색의 4가지 색깔과 반짝거리는 불빛의 주기로 자신의
박상건 기자 2019-12-20 14:19:11
[박상건 시인의 '섬을 걷다'] 화산폭발로 생긴 바위섬과 생태공원의 풍경, 비양도

[박상건 시인의 '섬을 걷다'] 화산폭발로 생긴 바위섬과 생태공원의 풍경, 비양도

비양도는 제주특별자치도 본섬에서 35km 지점에 있는 섬 속의 섬이다. 한림항에서는 3km 지점에 떠있다. 비양도는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우도, 가파도에 이어 세 번째로 큰 유인도이다. 비양도는 우리나라 섬 중에서 유일하게 화산폭발 시기에 대해 기록으로 남아 있다. 그래서 관광지로도 각광받으면서 학술적 가치 또한 매우 높은 섬으로 평가받고 있다. 섬에는 화산폭발 지형과
박상건 기자 2019-12-19 16:29:14

섬TV

서정춘, ‘랑’

서정춘, ‘랑’

랑은이음새가 좋은 말너랑 나랑 또랑물 소리로 만나서사랑하기 좋은 말 - 서정춘, '랑’ 전문 팔순 고갯마루의 서정춘 시인이 제 7시집 ‘랑’을 펴냈다. 시집은 39쪽에 작품 31편 뿐이다. 작품들 역시 10행 미만으로 짧
박화목, '보리밭'

박화목, '보리밭'

보리밭 사이길로 걸어가면뉘 부르는 소리 있어 나를 멈춘다옛 생각이 외로워 휘파람 불면고운노래 귓가에 들려온다 돌아보면 아무도 보이지 않고저녁놀 괸 하늘만 눈에 차누나박화목, ‘보리밭’ 전문 괜스레 “외로
유인등대의 무인화 정책 이대로 좋은가?

유인등대의 무인화 정책 이대로 좋은가?

현재 우리나라 유인등대의 무인화 정책의 시작은 1994년 격렬비도등대가 무인화 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하여 유인등대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의 가족과 떨어진 외로움, 생활식수, 연료운반, 자녀교육 등 열악한 근무환경을
마음에 걸림이 없고, 걸림이 없어  두려움이 없는 명상

마음에 걸림이 없고, 걸림이 없어 두려움이 없는 명상

마음에 걸림이 없고, 걸림이 없어서 두려움이 없는 마음, 그렇게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살고 싶은 것은 인지상정. 우리 사회 곳곳에서 감사와 배려, 겸손과 자비의 명상바람이 새 물결로 출렁출렁 물결치고 있다. 절에서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것, 갈대는 저를 흔드는 것이 제 조용한 울음인 것을 까맣게 몰랐다. - 산다